126회 수질관리기술사 시험문제 풀이하도록 하겠습니다. 지하수오염 유발시설에 대한 문제입니다. 오염된 지하수는 대수층을 통해 다른 지역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해당지점에서의 오염뿐만 아니라, 실제 오염범위는 매우 광범위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하수오염 유발시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개요
정의 : 지하수를 오염시키거나 현저하게 오염시킬 우려가 있는 시설
2.지하수오염유발시설의 종류
가.지하수보전구역 내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 : 석유류, 유해화학물질의 제조 및 저장시설, 송유관 시설
-폐수배출시설
-폐기물 매립시설
-특별히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시설
나.지하수보전구역 외
-토양정밀조사 실시 명령을 받거나, 오염토양의 정화조치 명령을 받은 특정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
-폐기물 매립시설
3.지하수오염 유발시설의 오염방지
가.지하수오염 유발시설의 설치자 또는 관리자는 지하수 오염방지를 위한 조치를 하고, 지하수 오염 관측정을 설치하여 수질측정을 하여야하며, 그 측정 결과를 시장 및 군수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나.지하수오염 유발시설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정하는 지하수 오염이 우려되거나 지하수오염이 발생하였을 때에 는 지체없이 적절한 조치를 하고 지자체장에게 신고를 해야한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128회 환경영향평가 수질조사지점 선정 시 고려사항
수질관리기술사 128회 문제 환경영향평가 수질조사지점 선정 시 고려사항에 대한 문제를 알아보겠습니다. 환경영향평가는 개발사업 계획 수립단계에서 해당 사업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미리
waterexpert.tistory.com
128회 미생물연료전지(MFC, Microbial Fuel Cell)
미생물 연료전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미생물 연료전지는 바이오 전기화학시스템으로서, 미생물의 상호 작용을 모방하여 전류를 유도합니다. 미생물연료전지는 유기물에 함유된 화학에
waterexpert.tistory.com
128회 오존을 이용한 고도산화(AOP, Advanced Oxidation Process) 3가지
오존을 이용한 고도산화에 대한 문제입니다. 고도산화공정은 필기 뿐만 아니라, 면접에도 자주 출제되는 단골문제입니다. 오존의 특징, 고도산화처리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알고 있으면 됩니
waterexpert.tistory.com
블로그 인기글
2025년 기사 시험일정
2025년 기사 시험일정입니다. 기사 시험은 년 3번 치러집니다. 2025년에 기사 시험에 응시하고자 하는 분들은 종목별 일정 및 정보를 확인하세요! 원서접수 기간을 구글캘린더에 바로 추가할 수 있게 링크를 달아두었습니다. ^^ 2025년 기사시험일정✔️제1회 기사 시험필기시험 원서접수: 2025년 1월 13일(월) ~ 1월 16일(목) 1차 시험접수 일정 구글 캘린더에 추가필기시험: 2025년 2월 7일(금) ~ 3월 4일(화)필기시험 합격(예정)자 발표: 2025년 3월 12일(수)실기시험 원서접수: 2025년 3월 24일(월) ~ 3월 27일(목)실기시험: 2025년 4월 19일(토) ~ 5월 9일(금)최종 합격자 발표: 1차 6월 5일(목), 2차 6월 13일(금) ✔️ 제2회 기사 시험필기..
https://waterexpert.tistory.com
관로시설 설계기준 5. 관로의 접합과 연결
관로의 접합과 연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관로의 접합에는 수면접합, 관정접합, 관중심접합, 관저접합 그리고 경사진 지표에 적용하는 단차접합, 계단접합이 있습니다. 관로의 연결은 수밀성, 내구성, 내부식성이 있는 있는 것으로 합니다. 관련 내용에 대해서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관로의 접합 관로의 방향, 경사, 관경이 변화하는 장소 및 관로가 합류하는 장소에는 맨홀을 설치하여야 하고, 관로내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흐르게 하기 위해서는 원칙적으로 에너지경사선에 맞추어야 합니다. 관로접합은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 정합니다. (1) 관로의 관경이 변화하는 경우 또는 2개의 관로가 합류하는 경우의 접합방법은 수면접합, 관정 접합, 관중심접합, 관저접합이 있으나 원칙적으로 수면접합 또는 관정접합으로 합니..
https://waterexpert.tistory.com
관로시설 설계기준 7. 관로검사
관로검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시공 중, 시공 후 하수관로의 시공적정성을 조사하고 판정하기 위해 실시합니다. 관로검사의 종류 및 특징, 그리고 관로검사의 기본사항 및 허용누수량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관로검사의 종류 및 특징 관로검사는 시공 중이거나 시공 후 하수관로(하수관, 맨홀, 연결관, 배수관 등)의 시공적정성을 조사하고 판정하기 위한 것입니다. 관로검사는 다음과 같이 구분합니다. (1) 검사시기에 따라 시공중에 실시하는 시공검사와 시설준공시 실시하는 준공검사로 구분합니다. (2) 검사대상에 따라 경사검사, 수밀검사, 내부검사, 오접 및 유입수・침입수 경로검사, 변형검사로 구분합니다. (3) 검사구간에 따라 수밀검사는 맨홀-맨홀구간으로 시행하는 수밀검사와 개보수 등 특정구간에 한정하여 ..
https://waterexpert.tistory.com
관로시설 설계기준 3. 매설위치 및 깊이
관로 설계시 매설의 위치, 깊이 그리고 관로의 표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매설위치는 공공도로상에 매설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매설 깊이는 원칙적으로 흙두께 1m로 합니다. 또한, 관로의 오접 방지, 관로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서 관로의 표시를 해야합니다. 매설위치 매설위치는 다음 사항을 고려해서 결정하여야 합니다. (1) 관로는 공공도로상에 매설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그 매설위치 및 깊이를 도로 관리자와 협의하여 정합니다. (2) 관로를 하천변에 매설할 경우에는 그 매설위치 및 깊이에 대하여 하천 관리자와 사전 협의하여 정합니다. 하천 매설 관로의 관체 보강 및 보호, 수밀성 확보를 위하여 관 보호공 설치를 기본으로 합니다. (3) 철도횡단의 경우에는 관로가 교통하중 및 진동을 직접 받지 않도록..
https://waterexpert.tistory.com
관로시설 설계기준 4. 관로의 보호 및 기초공
관로의 보호 및 기초공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외압에 대한 관로의 보호, 관로 내면 보호, 관로 기초공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외압에 대한 관로의 보호 흙두께 및 재하중이 관로의 내하력을 넘는 경우, 철도 밑을 횡단하는 경우 또는 하천을 횡단하는 경우 등에는 콘크리트 또는 철근콘크리트로 바깥둘레를 쌓아서 외압에 대하여 관로를 보호합니다. 하천노선에 따라 부설되는 관로에도 관보호를 하여야 합니다. 관로의 내면 보호 관로의 내면이 마모 및 부식 등에 따른 손상의 위험이 있을 때에 내마모성, 내부식성이 우수한 재질의 관로를 사용하거나 관로의 내면을 적당한 방법에 의해 라이닝(lining) 또는 코팅(coating)을 하여야 하고, 관로를 연결하는 연결구도 내부식성이 있는 재질로 하여야 합니다. 관로..
https://waterexpert.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