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로의 보호 및 기초공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외압에 대한 관로의 보호, 관로 내면 보호, 관로 기초공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외압에 대한 관로의 보호
흙두께 및 재하중이 관로의 내하력을 넘는 경우, 철도 밑을 횡단하는 경우 또는 하천을 횡단하는 경우 등에는 콘크리트 또는 철근콘크리트로 바깥둘레를 쌓아서 외압에 대하여 관로를 보호합니다. 하천노선에 따라 부설되는 관로에도 관보호를 하여야 합니다.
관로의 내면 보호
관로의 내면이 마모 및 부식 등에 따른 손상의 위험이 있을 때에 내마모성, 내부식성이 우수한 재질의 관로를 사용하거나 관로의 내면을 적당한 방법에 의해 라이닝(lining) 또는 코팅(coating)을 하여야 하고, 관로를 연결하는 연결구도 내부식성이 있는 재질로 하여야 합니다.
관로기초공
관로의 기초공은 관로의 종류, 토질, 지내력, 시공방법, 하중조건 및 매설조건 등에 따라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 정하되, 내구성 및 경제성도 검토되어야 합니다. 관종에 따른 일반적인 기초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강성관로(剛性管路)의 기초공
철근콘크리트관 등의 강성관로는 조건에 따라 모래, 쇄석(또는 자갈), 콘크리트, 철근콘크리트, 벼개통목, 말뚝 등의 기초를 실시하며, 필요에 따라 이들을 조합한 기초를 실시하되, 모래기초의 경우 관의 부식방지를 위하여 한국산업표준 KS F 2526 콘크리트용 골재에서 규정한 염화물(NaCl) 함유량이 허용값 이하의 모래를 사용하여야 합니다. 단, 지반이 양호한 경우에는 이들 기초를 생략할 수가 있습니다.
모래기초에서 관로하단의 기초두께는 최소 100∼200 mm 또는 관로외경의 0.2∼0.25배를 기본 으로 하고, 매설지반이 암반인 경우는 다소 두껍게 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강성관의 강도계산에서 매설토의 수직토압에 의해 작용하는 수직등분포 하중을 구하기 위해 수직토압공식, 마스톤(Marston)공식 및 Janssen공식 등을 이용하고 차량 등에 의한 활하중을 고려하여 계산하되 관의 외압에 대한 강도는 철근콘크리트관의 경우 균열 하중을 적용하고, 도관의 경우 파괴하중을 적용합니다.

(2) 연성관로(軟性管路)의 기초공
경질염화비닐관, 폴리에틸렌관 등의 연성관로는 모래, 벼개동목, 포(布), 배드시트, 소일시멘트 등으로 기초로 하되 자유받침 모래기초를 원칙으로 하며, 관체의 보강이나 부등침하방지 등 기초의 주목적 조건에 따라 단독 또는 조합하여 설치합니다. 압송관로의 경우 기초는 모래 대신 양질토를 사용 할 수 있으나 이때에는 엄격한 품질검사를 거처야 합니다.
관하단의 모래두께는 100∼300mm가 바람직하며, 관상단 200mm이상은 모래등 양질의 토사를 사용하여 다짐・시공되도록 합니다. 연성관의 기초받침각은 360°가 바람직합니다. 연성관의 강도계산에서 작용하는 하중중 수직토압은 관로폭만의 토압으로 하고, 활하중에 의한 수직토압은 강성관과 같이 적용합니다. 매설토 및 활하중에 의한 휨모멘트 및 휨응력을 구하고 수직방향의 변형량 및 변형율을 구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글
관로시설 설계기준 1장 총설
관로시설은 관로(管路), 맨홀(manhole), 펌프장, 우수토실(雨水吐室, 차집유량조정시설), 토구(吐 口, 방류구), 물받이(오수, 우수 및 집수받이) 및 연결관 등을 포함한 시설의 총칭이며, 주택, 상업
waterexpert.tistory.com
관로시설 설계기준 2. 관의 종류와 단면
관의 종류와 단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관의 정류는 내압과 외압에 충분히 견딜수 있는 구조 및 재질이어야 하며, 관로의 단면은 수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원형 또는 직사각형 단면
waterexpert.tistory.com
관로시설 설계기준 3. 매설위치 및 깊이
관로 설계시 매설의 위치, 깊이 그리고 관로의 표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매설위치는 공공도로상에 매설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매설 깊이는 원칙적으로 흙두께 1m로 합니다. 또한, 관로
waterexpert.tistory.com
블로그 인기글
관로시설 설계기준 4. 관로의 보호 및 기초공
관로의 보호 및 기초공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외압에 대한 관로의 보호, 관로 내면 보호, 관로 기초공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외압에 대한 관로의 보호 흙두께 및 재하중이 관로의 내하력을 넘는 경우, 철도 밑을 횡단하는 경우 또는 하천을 횡단하는 경우 등에는 콘크리트 또는 철근콘크리트로 바깥둘레를 쌓아서 외압에 대하여 관로를 보호합니다. 하천노선에 따라 부설되는 관로에도 관보호를 하여야 합니다. 관로의 내면 보호 관로의 내면이 마모 및 부식 등에 따른 손상의 위험이 있을 때에 내마모성, 내부식성이 우수한 재질의 관로를 사용하거나 관로의 내면을 적당한 방법에 의해 라이닝(lining) 또는 코팅(coating)을 하여야 하고, 관로를 연결하는 연결구도 내부식성이 있는 재질로 하여야 합니다. 관로..
https://waterexpert.tistory.com
2025년 기사 시험일정
2025년 기사 시험일정입니다. 기사 시험은 년 3번 치러집니다. 2025년에 기사 시험에 응시하고자 하는 분들은 종목별 일정 및 정보를 확인하세요! 원서접수 기간을 구글캘린더에 바로 추가할 수 있게 링크를 달아두었습니다. ^^ 2025년 기사시험일정✔️제1회 기사 시험필기시험 원서접수: 2025년 1월 13일(월) ~ 1월 16일(목) 1차 시험접수 일정 구글 캘린더에 추가필기시험: 2025년 2월 7일(금) ~ 3월 4일(화)필기시험 합격(예정)자 발표: 2025년 3월 12일(수)실기시험 원서접수: 2025년 3월 24일(월) ~ 3월 27일(목)실기시험: 2025년 4월 19일(토) ~ 5월 9일(금)최종 합격자 발표: 1차 6월 5일(목), 2차 6월 13일(금) ✔️ 제2회 기사 시험필기..
https://waterexpert.tistory.com
관로시설 설계기준 5. 관로의 접합과 연결
관로의 접합과 연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관로의 접합에는 수면접합, 관정접합, 관중심접합, 관저접합 그리고 경사진 지표에 적용하는 단차접합, 계단접합이 있습니다. 관로의 연결은 수밀성, 내구성, 내부식성이 있는 있는 것으로 합니다. 관련 내용에 대해서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관로의 접합 관로의 방향, 경사, 관경이 변화하는 장소 및 관로가 합류하는 장소에는 맨홀을 설치하여야 하고, 관로내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흐르게 하기 위해서는 원칙적으로 에너지경사선에 맞추어야 합니다. 관로접합은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 정합니다. (1) 관로의 관경이 변화하는 경우 또는 2개의 관로가 합류하는 경우의 접합방법은 수면접합, 관정 접합, 관중심접합, 관저접합이 있으나 원칙적으로 수면접합 또는 관정접합으로 합니..
https://waterexpert.tistory.com
관로시설 설계기준 7. 관로검사
관로검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시공 중, 시공 후 하수관로의 시공적정성을 조사하고 판정하기 위해 실시합니다. 관로검사의 종류 및 특징, 그리고 관로검사의 기본사항 및 허용누수량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관로검사의 종류 및 특징 관로검사는 시공 중이거나 시공 후 하수관로(하수관, 맨홀, 연결관, 배수관 등)의 시공적정성을 조사하고 판정하기 위한 것입니다. 관로검사는 다음과 같이 구분합니다. (1) 검사시기에 따라 시공중에 실시하는 시공검사와 시설준공시 실시하는 준공검사로 구분합니다. (2) 검사대상에 따라 경사검사, 수밀검사, 내부검사, 오접 및 유입수・침입수 경로검사, 변형검사로 구분합니다. (3) 검사구간에 따라 수밀검사는 맨홀-맨홀구간으로 시행하는 수밀검사와 개보수 등 특정구간에 한정하여 ..
https://waterexpert.tistory.com
관로시설 설계기준 3. 매설위치 및 깊이
관로 설계시 매설의 위치, 깊이 그리고 관로의 표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매설위치는 공공도로상에 매설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매설 깊이는 원칙적으로 흙두께 1m로 합니다. 또한, 관로의 오접 방지, 관로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서 관로의 표시를 해야합니다. 매설위치 매설위치는 다음 사항을 고려해서 결정하여야 합니다. (1) 관로는 공공도로상에 매설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그 매설위치 및 깊이를 도로 관리자와 협의하여 정합니다. (2) 관로를 하천변에 매설할 경우에는 그 매설위치 및 깊이에 대하여 하천 관리자와 사전 협의하여 정합니다. 하천 매설 관로의 관체 보강 및 보호, 수밀성 확보를 위하여 관 보호공 설치를 기본으로 합니다. (3) 철도횡단의 경우에는 관로가 교통하중 및 진동을 직접 받지 않도록..
https://waterexpert.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