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기에 의한 산소용해기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총산소이동용량계수와 하수의 포화용존산소농도 그리고 포기장치 효율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포기에-의한-산소용해기구-썸네일

총산소이동용량계수(KLa)

포기에 의한 산소의 용해는 가스상 산소가 용액중으로 확산하는 현상으로 총산소이동용량계수
KLa는 단위 부피당 산소이동속도를 의미합니다.

산소이동속도-구하는-식

총산소이동용량계수(KLa)에 영향을 주는 인자

(1) 송풍량과 산기심도 기포 직경이 작고 수중에서의 기포 체류시간이 길면 KLa는 증가합니다.
(2) 수온 물에 대한 산소의 용해는 수온이 높을수록 용해속도는 증가하지만 용해도, 즉 용존산소농도는 감소됩니다.
(3) 하수중 함유성분과 농도 활성슬러지에서 포기를 행하는 경우 하수중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이나 그 농도에 의하여 KLa 값에 차이가 발생합니다.

하수의 포화용존산소농도

하수 중에 함유된 성분이나 그 농도에 의하여 용존산소농도에 차이가 발생합니다. 깨끗한 물에 대한 변화정도를 계수 베타(β)로 표시하면 아래와 같이 표현됩니다.

 

깨끗한 물에 대한 변화정도

β값은 생하수에선느 0.8 전후이고, 처리수에서는 처리 공정에 따라 다르지만, 약 1.0 입니다. 

포기장치 효율

포기장치 효율은 일반적으로 산소전달효율이나 산소이동 동력효율로서 나타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동일 포기장치에 있어서도 효율은 포기 조건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효율을 나타내는 경우는 송풍량, 산기심도, 수온, 하수 특성, 반응조의 크기 등 조건을 모두 포함하여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산소전달효율은 반응조에 송입된 산소 중량에 대한 용해 산소 중량의 비로서 표시할 수 있습니다.

산소전달효율(OTC, Oxygen Transfer Effciency)

산소전달효율은 아래 식과 같이 반응조에 송입된 산소 중랴엥 대한 용해 산소 중량의 비로 표시 합니다. 

산소전달효율은 off-gas 분석방법에 의해 측정합니다. Off-gas 분석법은 송풍기에서 포기조로 공급되는 공기 중의 상대적인 산소 조성과 하수를 통과하여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가스(off-gas)의 상대적인 산소의 조성을 측정하여 포기조 내에 설치된 산기장치의 산소전달효율을 평가합니다.

off-gas-분석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