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성슬러지법 처리방식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활성슬러지 변법, 반응조의 설계방법 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활성슬러지법 처리방식 썸네일

활성슬러지 변법

표준활성슬러지법외 활성슬러지 변법에는 step aeration법, 순산소 활성 슬러지법, 장기 포기법, 산화구법, 연속 회분식 활성 슬러지법등이 있으며, 계획수질외 시설의 규모, 주변 환경조건,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방식을 선택합니다.

 

활성슬러지 변법의 종류

반응조의 설계

활성슬러지법의 반응조 설계는 수리학적체류시간(HRT)의 설정을 기본으로 하는 방법과 고형물 체류시간(SRT)의 설정을 기본으로 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수리학적체류시간 설정을 기본으로 하는 경우에는, 반응조 유입수질을 고려하여 적정한 HRT(θ)와 MLSS농도(X)를 경험적 판단에 근거하여 우선적으로 설정합니다. 다음으로, 목표 처리수질(S)을 설정한 후 잉여슬러지발생량(Px)과 고형물체류시간(SRT, θc)을 산정합니다. 

 

HRT 설정을 통한 반응조 용량 계산

산정된  SRT의 적정성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처리수의 C-BOD와 SRT, 수온과의 관계를 참고하여 설계수온 및 산정된 SRT 조건에서 목표 처리수질 당성이 가능한지를 평가합니다. 그리고 질산화율과 SRT, 수온과의 관계를 참고하여 설계수온 및 산정된  SRT 조건에서 목표하는 질산화가 가능한지를 평가합니다. 평가결과 목표 처리수질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 HRT 또는 MLSS를 증가시켜 다시 계산을 수행하거나, 다음에 제시되는 고형물체류시간(SRT) 설정을 기본으로 하는 설계 방법에 의해 반응조의 HRT를 결정합니다. 

 

SRT 설정을 통한 반응조 용량계산

SRT를 이용하여 반응조 용량을 설계하는 방법은 위 그림과 같이 목표 처리수질(S)을 설정하고 처리수의 C-BOD, SRT, 수온과의 관계 및 질산화율과 SRT, 수온과의 관계를 참고하여 설계수온에서 목표하는 처리수질 달성에 필요한 목표 SRT를 설정합니다. 그리고 잉여슬러지발생량(Px)를 산정한 후에 필요한 HRT를 산정할 수 있습니다. 

반응조 설계에 있어서 설정하는 MLSS 농도에 따라 반응조 HRT가 달라지므로 적정한 MLSS 농도 설정이 매우 중요합니다. 그리고 예상되는 반송슬러지의 SS농도에 근거하여 설정한 MLSS 농도 유지에 필요한 적정 슬러지반송비를 결정해야하며, 이로 인해 발생되는 이차침전지 고형물부하가 적정한지 여부를 반드시 검토해야합니다. 

반응조의 용량계산에 따른 슬러지반송비의 결정위치

✏ 함께 보면 좋은 글

 

 

하수처리시설 설계기준 5.1활성슬러지법의 설계인자

하수처리시설 중 활성슬러지법의 설계인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F/M 비율, MLSS 농도, SRT, 송풍량, 포기 시간, 슬러지 반송 비율, 유기물 부하, 잉여 슬러지 생성량, 용존 산소 농도, 필요 산소

waterexpert.tistory.com

 

관로시설 설계기준 1장 총설

관로시설은 관로(管路), 맨홀(manhole), 펌프장, 우수토실(雨水吐室, 차집유량조정시설), 토구(吐 口, 방류구), 물받이(오수, 우수 및 집수받이) 및 연결관 등을 포함한 시설의 총칭이며, 주택, 상업

waterexpert.tistory.com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