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역별 통합운영관리 계획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유역별 통합운영계획은 기존 행정구역, 지역적으로 운영관리되던 하수도시설에 대해서 유역별로 통합하여 운영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예산 중복 집행과 같은 비효율적인 행정소요가 줄어들게 되고 더욱 효율적인 하수도시설의 운영관리가 가능해집니다. 그럼 유역별 통합운영관리계획에 대해서 좀 더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유역별 통합운영관리 기본방향
시설의 통합운영관리는 다음 사항을 기본방향으로 계획한다. (1) 통합운영관리계획은 하수도시설의 운영관리 효율화 및 유지관리비용 저감을 주목적으로 한다. (2) 관할 구역의 유역별로 하수도시설의 통합운영관리를 계획하되, 관할 구역 외 수질오염총량관 리계획상의 수계를 고려하여 계획한다. |
그간 국내의 하수도시설의 설치 및 관리는 행정구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하천 건천화 발생, 수생태 환경유지 어려움 및 하천유지용수 등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가 곤란하였고 비점오염원의 효율적인 관리가 어려워 비효율적인 하수도시설의 운영 및 건설 사례가 발생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물환경관리 기본계획 및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의 효율적인 이행과 유역별 수질관리체계에 부합하는 하수도시설의 설치 및 운영관리체계의 구축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와 더불어 하수처리 시설물의 증가로 관리의 효율성이 요구되고, 다수의 유지관리 인력이 필요한 현행 관리운영 체제를 개선하고, 시설물의 효율적인 통합관리를 위한 원격지 시설 자동제어 시스템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1)에 대하여 하수도시설의 통합운영관리는 기존의 시설별, 지역적 운영관리에서 탈피하여 유역별 통합운영관리체 계를 구축․운영함으로서 운영관리의 효율화와 이에 따른 운영관리(유지관리) 비용의 저감이 주목적으로 되어야 한다.
(2)에 대하여 하수도시설의 정비주체는 특별시장․광역시장․시장 또는 군수로 행정적 구역으로 구분되어 있으나 국가 하수도 종합계획에 따라 유역별 하수관리체계로 전환되고 있으며, 하수도시설의 건설 및 운영의 효율화를 위 하여 행정구역 내 유역뿐만 아니라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상의 관할구역 외 수계를 고려하여 계획하여야 한다.
유역별 통합운영관리 방안
하수도시설의 통합운영관리계획은 다음과 같이 계획한다. (1) 유역별 통합운영관리를 위한 중심 하수도시설을 선정・계획하고, 유역범위 및 시설범위 등을 고려하여 소유역별 중심(지역)시설을 추가로 계획한다. (2) 통합운영관리계획에는 현재 및 장래계획의 모든 하수도시설을 포함하고, 하수도시설외 환경 기초시설의 통합운영관리도 함께 검토・반영되어야 한다. (3) 통합운영관리시스템은 하수도시설의 무인자동화, 유지관리인원의 최소화로 계획하여야 한다. (4) 중심처리시설은 운영관리시스템 뿐만 아니라, 행정・유지보수, 실험실 등 전체적 유지관리의 중심시설로 구성되어야 한다. |
(1)에 대하여 유역별로 최적 통합운영관리를 위한 중심 하수도시설을 선정․계획하며, 중심하수도시설은 하수처리 시설, 펌프장 또는 별도의 통합운영시설로 계획될 수 있다. 유역관리 범위의 지나친 광범위화, 통합운영관리시설의 다양화 및 개소수 증가와 유역의 지형적 특성 등으로 소유역별 관리가 필요한 경우에는 소유역별 중심(지역) 시설을 추가로 계획하여 효율화를 기한다.
(2)에 대하여 유역별 통합운영관리계획은 현재 운영 및 설치중인 시설뿐만 아니라 계획 중인 시설도 포함하여야 한다. 통합운영관리계획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장기적 관점에서는 하수도시설 외에도 폐수종말처리시설, 가축분뇨처리시설 등 환경기초시설을 총망라하여 계획하는 것으로 한다.
(3)에 대하여 통합운영관리시스템은 공공하수처리시설에 자동화설비 및 원격감시제어시스템, 중앙 집중 감시제어 시 스템 등 통합운영관리시스템 등에 의한 최적 감시제어 구축으로 무인 자동운전 또는 유지관리 인력의 최소화로 계획하여야 한다. 유역 내 하수도시설 중 중심 처리시설 이외 시설은 자동화 시스템에 의한 중앙 집중 감시제 어방식의 무인운전으로 계획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야 한다.
(4)에 대하여 유역내 통합운영관리의 중심 시설의 운영관리 시스템의 중심 역할뿐만 아니라 행정 및 시설 유지 보수의 중심 시설의 기능을 갖추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실험실, 평상시 및 비상시 유지․보수인력의 대기 및 시설의 정비를 위한 설비가 구축되도록 하여야 한다.
통합운영관리시스템 계획
하수도시설의 통합운영관리시스템은 각 시설별로 다음과 같은 기능을 갖추도록 하여야 하며, 아래 사항을 고려하여 시스템을 계획한다. (1) 통합관리시스템은 감시 및 제어기능, 시설물 정보관리기능, 운영관리 기능을 갖추도록 하여야 한다. (2) 중심처리시설 통합운영관리시스템은 최상위 시스템으로 소유역 중심시설 및 단위시설의 운 영관리시스템의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3) 소유역 중심시설은 단위시설 운영관리와 밀접하게 관계되는 시설로, 단위시설의 원격감시 및 제어기능에 우선을 둔 시설관리 기능 수행이 요구된다. (4) 하수처리시설, 펌프장 등 개별단위 하수도시설은 자체시설의 원격감시 및 제어에 우선하며, 일 부 예속된 하부시설에 대한 원격감시 및 제어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
결론
지금까지 유역별 통합운영관리방안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지금까지 행정구역에 따른 운영관리에서 탈피하여 유역별 통합적으로 운영관리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습니다. 유역하수도 개념이 기술사에서도 자주 출제되는 문제이기도 합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