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관리기술사 128회 문제 경도입니다. 경도는 물의 세기를 뜻하는 것으로, 물에 칼슘이온, 마그네슘 이온과 같은 양으로 수치화됩니다. 경도 세기에 따라 연수, 경수로 구분하는데, 경도가 낮은 연수는 담백하고 부드러워 음용하기에 적합하나, 미네랄 함유량이 낮기때문에 체질개선의 효과는 미미합니다. 경도가 높은 경수는 진하고 쓴맛이 강하며, 미네랄(마그네슘, 칼슘이온)이 풍부하여 체질개선과 건강 증진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1. 개요
-경도는 물의 세기를 의미하며, ca2+, Mg2+, Mn2+, Sr2+ 와 같은 양이온을 CaCo3로 환산한 값
-측정방법 : EDTA 적정법 경도의 계산 : (aF-1)×1,000/시료량
여기서, a : EDTA 용액 부피, F : EDTA 용액 농도
-대부분의 경도는 토양과 암석으로부터 유발됩니다. 비가 내리면 그 빗물은 땅속으로 스며들게 되는데 그 과정에서 빗물에는 토양 미생물의 활동에 의해 생성된 이산화탄소가 녹아들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물은 산성을 띄게 되고 그물은 토양이나 암석과 접촉하며 양이온 금속들이 녹아 들어가게 됩니다.
2. 경도의 종류
-이온의 선택성 : 왼쪽으로 갈수록 높음(선택적 반응)
-탄산경도(일시경도) : 2가 양이온과 알칼리도 유발물질 결합, 끓이면 연화
-비탄산경도(영구경도) : 2가 양이온과 So4-등이 결합, 끓여도 제거 안됨
-총경도 = 일시경도 + 영구경도
-가경도 : Na+이 고농도로 존재 시 경도와 유사한 현상 발생

3. 경도 세기에 따른 분류
구분
|
연수
|
적당한 경수
|
경수
|
고경수
|
세기
|
75이하
|
75~150
|
150~300
|
300이상
|
-먹는물 수질기준 : 경도 300 mg/L 이하
4. 경도의 영향
-고경수 음용시 설사 유발(경도 300 mg/L 이상시 )
-보일러, 수도관 스케일 유발
-세제 사용량, 응집제 사용량 증가
5. 결과
-연수화를 위해 주로 응석침전법, 이온교환법이 주로 사용
-멤브레인 보급확대로 인해 NF, RO 이용한 경도저감 방안 도입 검토 필요
-해수담수화(RO)의 경우 경도성분 감소로 물이 연수화되어 관의 부식성 증가되어 재탄화 필요
6. 물의 연수화
1.자비법 : 물을 끓여 일시경도 제거, 에너지 소모 큼(비경제적)
2.정석연화법 : 가성소다(NaOH)로 pH를 10정도로 조절 후 →탄산칼슘피복 유동매체와 접촉→수중의 칼슘을 탄산칼슘으로 유동매체에 정석시켜 제거
3.응집침전법(석회소다법) : 소석회,소다회, 가성소다 첨가 → CaCo3, Mg(OH)2 침전 제거
-탁질 중금속이온 동시 제거, 초기투자비용 적음
-슬러지 발생, 약품비 과다
4.이온교환법 : 수중의 경도성분 이온을 이온교환수지로 Na+ 이온화하여 교환 제거, 이온교환수지는 식염수를 이용하여 재생
-모든 경도물질 제거 가능, 설치부지가 적고, 슬러지 발생 없음, pH 변동 없음
-초기투자비 큼, 고농도 탁질 제거 어려움, Na+이온 많은 물 곤란
저감방법
|
원리
|
특징
|
자비법
|
물을 끓여 일시경도제거
|
에너지소모량 과다
|
정석연화법
|
수중의 칼슘을 탄산칼슘으로 유동매체에 정석시켜 제거(pH 10)
|
슬러지 처리 불필요
알칼리도 소모, pH 조정 설비 필요
|
석회소다법
|
소석회, 소다회, 가성소다 첨가→Mg(OH)2, CaCo3 침전 제거
|
탁질 중금속 동시 제거
약품비 과다
|
이온교환법
|
수중의 경도성분 이온을 이온교환수지로 Na+이온과 교환제거
|
모든경도물질제어가능
고탁도 물에 적용 곤란
초기투자비 큼
|
📌함께 보면 좋은 글
128회 BOD, NOD
수질관리기술사 128회 10점문제 정리입니다. BOD, NOD에 대한 문제로, BOD, NOD에 대한 정의 그리고 관계에 대해서 서술하면 되는 문제입니다. 자주 출제되는 문제이오니, 각각의 정의와 관계 그래프
waterexpert.tistory.com
128회 하천의 정화단계(Whipple Method)
수질관리기술사 128회 하천의 정화단계 문제입니다. 도심 속 생태공간 역할을 하는 하천들은 오염물질 유입 시 이를 분해하여 수질을 개선시키는 자정작용을 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하천의 정
waterexpert.tistory.com
128회 악취 발생원, 발산원, 배출원
수질관리기술사 128회 1교시 4번문제인 악취 발생원, 발산원, 배출원에 관한 정리입니다. 많은 지자체들이 쾌적한 도시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 하수악취를 저감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waterexpert.tistory.com
128회 부영양화의 영향 및 대책
수질관리기술사 128회 부영양화의 영향 및 대책에 대한 문제풀이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인간 활동 및 자연현상으로부터 발생되는 물질 또는 에너지 유입량 증가로 인하여 하천수나 호수 물속에
waterexpert.tistory.com
블로그 인기글
2025년 기사 시험일정
2025년 기사 시험일정입니다. 기사 시험은 년 3번 치러집니다. 2025년에 기사 시험에 응시하고자 하는 분들은 종목별 일정 및 정보를 확인하세요! 원서접수 기간을 구글캘린더에 바로 추가할 수 있게 링크를 달아두었습니다. ^^ 2025년 기사시험일정✔️제1회 기사 시험필기시험 원서접수: 2025년 1월 13일(월) ~ 1월 16일(목) 1차 시험접수 일정 구글 캘린더에 추가필기시험: 2025년 2월 7일(금) ~ 3월 4일(화)필기시험 합격(예정)자 발표: 2025년 3월 12일(수)실기시험 원서접수: 2025년 3월 24일(월) ~ 3월 27일(목)실기시험: 2025년 4월 19일(토) ~ 5월 9일(금)최종 합격자 발표: 1차 6월 5일(목), 2차 6월 13일(금) ✔️ 제2회 기사 시험필기..
https://waterexpert.tistory.com
관로시설 설계기준 3. 매설위치 및 깊이
관로 설계시 매설의 위치, 깊이 그리고 관로의 표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매설위치는 공공도로상에 매설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매설 깊이는 원칙적으로 흙두께 1m로 합니다. 또한, 관로의 오접 방지, 관로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서 관로의 표시를 해야합니다. 매설위치 매설위치는 다음 사항을 고려해서 결정하여야 합니다. (1) 관로는 공공도로상에 매설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그 매설위치 및 깊이를 도로 관리자와 협의하여 정합니다. (2) 관로를 하천변에 매설할 경우에는 그 매설위치 및 깊이에 대하여 하천 관리자와 사전 협의하여 정합니다. 하천 매설 관로의 관체 보강 및 보호, 수밀성 확보를 위하여 관 보호공 설치를 기본으로 합니다. (3) 철도횡단의 경우에는 관로가 교통하중 및 진동을 직접 받지 않도록..
https://waterexpert.tistory.com
관로시설 설계기준 4. 관로의 보호 및 기초공
관로의 보호 및 기초공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외압에 대한 관로의 보호, 관로 내면 보호, 관로 기초공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외압에 대한 관로의 보호 흙두께 및 재하중이 관로의 내하력을 넘는 경우, 철도 밑을 횡단하는 경우 또는 하천을 횡단하는 경우 등에는 콘크리트 또는 철근콘크리트로 바깥둘레를 쌓아서 외압에 대하여 관로를 보호합니다. 하천노선에 따라 부설되는 관로에도 관보호를 하여야 합니다. 관로의 내면 보호 관로의 내면이 마모 및 부식 등에 따른 손상의 위험이 있을 때에 내마모성, 내부식성이 우수한 재질의 관로를 사용하거나 관로의 내면을 적당한 방법에 의해 라이닝(lining) 또는 코팅(coating)을 하여야 하고, 관로를 연결하는 연결구도 내부식성이 있는 재질로 하여야 합니다. 관로..
https://waterexpert.tistory.com
2025년 국가직 공무원 공채시험 일정 및 주요 변경사항
2025년 국가직 공무원 공채시험 일정과 주요 변경사항이 발표되었습니다. 공시생들에게 중요한 이번 정보는 일정과 시험 형태의 변화를 포함하고 있어, 사전에 철저한 준비가 요구됩니다. 주요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주요 일정 밑에는 구글캘린더에 바로 일정과 함께 저장을 할 수 있도록 했으니, 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은 꼭 캘린더에 저장하세요!1. 국가직 공채시험 일정✍️9급 공채원서접수: 2025년 2월 3일(월) ~ 2월 7일(금)구글 캘린더에 추가필기시험: 2025년 4월 5일(토)구글 캘린더에 추가필기합격자 발표: 5월 9일(금)구글 캘린더에 추가면접시험: 5월 28일(수) ~ 6월 2일(월)구글 캘린더에 추가최종합격자 발표: 6월 20일(금)구글 캘린더에 추가✍️7급 공채원서접수: 2025년 5월 12..
https://waterexpert.tistory.com
관로시설 설계기준 5. 관로의 접합과 연결
관로의 접합과 연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관로의 접합에는 수면접합, 관정접합, 관중심접합, 관저접합 그리고 경사진 지표에 적용하는 단차접합, 계단접합이 있습니다. 관로의 연결은 수밀성, 내구성, 내부식성이 있는 있는 것으로 합니다. 관련 내용에 대해서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관로의 접합 관로의 방향, 경사, 관경이 변화하는 장소 및 관로가 합류하는 장소에는 맨홀을 설치하여야 하고, 관로내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흐르게 하기 위해서는 원칙적으로 에너지경사선에 맞추어야 합니다. 관로접합은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 정합니다. (1) 관로의 관경이 변화하는 경우 또는 2개의 관로가 합류하는 경우의 접합방법은 수면접합, 관정 접합, 관중심접합, 관저접합이 있으나 원칙적으로 수면접합 또는 관정접합으로 합니..
https://waterexpert.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