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착미생물을 활용한 생물학적 처리방식은 하수 처리와 같은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부착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처리는 대기 하수 및 생물막의 상호 접촉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됩니다. 이 방법들은 반응조 내의 여재와 같은 접촉제 표면에 형성된 주로 미생물로 구성된 생물막을 통해 오수 중의 유기물을 분해하고 처리합니다​​.

 

하수도 설계기준에 대해 더 자세하게 보고 싶은 분은 아래 pdf를 다운 받아 주세요.

6-1.pdf
1.96MB
6-2.pdf
3.84MB
6-3.pdf
4.36MB

 

1. 접촉산화법 특징

접촉산화법은 생물막을 활용한 처리 방식 중 하나입니다. 이 방식은 반응조 내의 접촉재 표면에 부착된 호기성 미생물의 대사 활동을 통해 하수를 처리합니다. 이 방법의 주요 장점으로는 유지관리의 용이성, 다양한 생물상의 존재, 분해속도가 낮은 기질의 효과적 제거, 부하 수량 변동에 대한 완충 능력, 난분해성 물질 및 유해물질에 대한 내성 등이 있습니다. 반면, 미생물량 유지의 어려움, 반응조 내 매체의 균일한 포기 교반 조건 설정의 어려움, 고부하 시 매체의 폐쇄 위험 등의 단점도 존재합니다​​.

 

 

2. 호기성여상법 특징

호기성여상법은 3~5mm 정도의 접촉여재를 충전시킨 여상의 상부에 일차침전지 유출수를 유입시켜 여재를 통과하는 동안 여재 표면에 부착된 호기성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하고 SS를 포착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법의 특징은 이차침전지가 필요 없으며, 처리 시간이 짧고 필요한 부지 면적이 적다는 것입니다​​.

 

 

호기성여상법의 특징

① 호기성미생물의 흡착작용, 생물분해작용과 물리적 여과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져 이차침전지가 필요없어 체류시간이 짧고 필요 부지면적이 적다.
② 반송슬러지가 필요하지 않고 고액분리 장애(벌킹) 등의 염려가 없어 공기량의 조정과 역세척만의 조정으로 양호한 처리수를 얻을 수 있는 비교적 용이한 처리방식이다.
③ 본법은 산소용해효율이 높기 때문에 다른 처리법에 비해 필요산소량 및 필요공기량이 적다.
④ 부하량에 따라서는 질산화미생물의 증식이 가능해 유기물제거 뿐만 아니라 질산화반응도 가능하다.

 

 

 

하수처리시설 설계기준 5.4 표준활성슬러지법

표준활성슬러지법은 생물학적 처리 과정을 통해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생물반응조, 침전조, 그리고 반송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수리학적 체류시간(HRT)과 MLS

waterexpert.tistory.com

 

 

하수처리시설 설계기준 5.1활성슬러지법의 설계인자

하수처리시설 중 활성슬러지법의 설계인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F/M 비율, MLSS 농도, SRT, 송풍량, 포기 시간, 슬러지 반송 비율, 유기물 부하, 잉여 슬러지 생성량, 용존 산소 농도, 필요 산소

waterexpert.tistory.com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