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로시설은 관로(管路), 맨홀(manhole), 펌프장, 우수토실(雨水吐室, 차집유량조정시설), 토구(吐 口, 방류구), 물받이(오수, 우수 및 집수받이) 및 연결관 등을 포함한 시설의 총칭이며, 주택, 상업 및 공업지역 등에서 배출되는 오수나 우수를 모아서 처리시설 또는 방류수역까지 이송 또는 유출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계획하수량
각 관로 별 계획하수량은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 정합니다.
(1) 오수관로에서는 오수량의 시간적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계획시간최대오수량으로 합니다. 오수관로는 오수량의 시간적 변화에 충분히 대응하고 오수를 지체 없이 이송 또는 유출시킬 수 있어야 합니다. 계획시간최대오수량의 산출은 각 지역의 실정을 고려하여 정합니다.
- 계획시간최대오수량 : 계획1일 최대오수량의 1시간당 1.3 ~ 1.8배
(2) 우수관로에서는 해당지역의 적합한 강우강도, 유출계수 및 유역면적을 반영한 계획우수량으로 합니다. 계획우수량은 다른 하수량에 비해 발생량이 매우 많으므로 사용하는 강우강도, 유출계수 및 유출량 산출공식에 따라 결과에 차이가 큽니다. 따라서 각 지역의 실정에 적합한 강우강도 산출공식을 유도합니다.
(3) 합류식 관로에서는 계획시간최대오수량에 계획우수량을 합한 것으로 합니다. 관로단면결정의 중요한 요소는 계획우수량입니다.
(4) 차집관로는 각 지역의 실정, 차집・이송・처리에 따른 오염부하량 저감효과 및 그에 따른 필요한 비용 등을 고려한 우천 시 계획오수량으로 합니다. 합류식배수구역에서는 우천시 하수량의 일부를 우천시 계획오수량으로 하여 차집관로로 유하시켜야합니다. 우천시 계획오수량은 각 지역의 실정, 차집·이송·처리에 따른 오염부하량 저감효과 및 그에 따른 필요한 비용 등을 검토하여 정합니다.
(5) 계획하수량과 실제 발생하수량 간에 큰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지역실 정에 따라 오수관로의 관경결정 시 계획하수량에 여유율을 둘 수 있습니다. 여유율은 일반적으로 관경증가에 따른 비용부담, 배수구역의 유하시간 차이로 인한 여유율 등을 감안하여 정합니다. 계획하수량과 실제 발생하수량 간에는 큰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각 지역의 실정에 따라 계획하수량에 여유율을 두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여유율에 따른 관경의 증가로 인한 경제적 부담, 간선관로 및 대구경 관로는 지선에서 하수의 유하시간 차이로 인한 여유율의 증가 등을 감안하여 결정합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여유율로서 오수관로인 경우 계획시간최대오수량에 대해 소구경관로(200~600 mm) 에서는 약 100%, 중구경관로(700~1,500 mm)에서는 약 50~100%, 대구경관로(1,650~3,000 mm)에서는 약 25~50% 정도 여유율을 갖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유량의 계산
유량은 자연유하일 경우 매닝(Manning)공식 또는 쿠터(Kutter)공식을 사용하고, 압송식일 경우 하젠윌리암스(Hazen-Williams)공식을 사용하여 산출합니다.
(1) 유량계산 공식
$$ Q = A\times V $$
$$ V=\frac{1}{n}\times R^{2/3}\times I^{1/2} $$
여기서, Q : 유량(m 3 /s) A : 유수의 단면적(m 2 ) V : 유속(m/s) n : 조도계수 R : 경심(m) (=A / P) P : 유수의 윤변(m) I : 동수경사(분수 또는 소수)
Kutter 공식

$$ V=0.84935\times C\times R^{0.63}\times I^{0.54} $$
여기서, V : 평균유속(m/s) C : 유속계수 I : 동수경사(h/L) h : 길이 L에 대한 마찰손실수두(m)
(2) 관로의 유량계산 인자
① 경사는 관저경사를 사용합니다.
② 조도계수는 Manning식 또는 Kutter식에서 철근콘크리트관 및 도관의 경우 각각 0.013, 경질 염화비닐관 및 강화플라스틱복합관의 경우는 0.011을 표준으로 합니다.
③ Hazen・Williams식에서 유속계수 C 값은 110을 표준으로 하고, 직선부(굴곡손실 등은 별도 계산한다)만의 경우는 130을 표준으로 합니다.
④ 관로 단면적은 유량과 경사의 결정으로 주어진 식에 따라 구하며, 수심을 결정할때 원형거는 만류, 직사각형거는 높이의 90%, 말굽형거는 높이의 80%로 합니다.
(3) 개거의 유량계산 인자
① 유량은 등류(等流) 혹은 부등류(不等流)를 고려하여 계산합니다.
② 평균유속은 일반적으로 Manning식을 사용하여 구하고, 조도계수는 미국상하수도협회(Water Environment Federation, WEF)에서 제공하는 설계매뉴얼 MOP FD-20 등의 자료에서 제시하는 범위로 합니다.
③ 적당한 여유고를 갖도록 단면을 결정합니다.
(4) 관로의 단면
각 단면형의 수심에 따른 유속 및 유량 수리특성을 고려하여 정합니다.
유속과 경사
유속은 저유속인 경우 관로내 입자물질 침전과 이로 인한 통수능 부족과 준설 등의 유지관리가 요구되고, 고유속인 경우 관로손상, 내용연수 감소 등을 유발하므로 중력식인 경우 하류방향 흐름에 따라 관경이 점차 커지고, 관로경사는 점차 작아지도록 다음사항을 고려하고 유속과 경사를 결정합니다.
(1) 오수관로
① 계획시간최대오수량에 대하여 유속을 최소 0.6 m/s, 최대 3.0 m/s로 합니다.
② 지표경사로 관로경사가 급하게 되어 최대유속이 3.0 m/s를 넘게 될 때에는 단차(段差)를 설치하여 유속을 감소시키거나 단차설치가 곤란한 경우에는 감세공(減勢工) 설치, 관경이나 맨홀의 종별 상향 또는 수격(水擊)에 의한 맨홀파손 방지조치를 고려합니다.
③ 오수관로의 시점부에서 다른 지선관로에 접합하지 않는 구간에 설치된 관로의 계획하수량이 적어 최소유속 확보가 불가능한 경우는 현장여건을 반영하여 최소경사 5‰이상을 확보 합니다.
(2) 우수관로 및 합류식관로
① 계획우수량에 대하여 유속을 최소 0.8 m/s, 최대 3.0 m/s로 합니다.
② 우수관로 및 합류식관로에서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큰 토사류의 침전방지가 필요하며, 급경 사지 등에서 과유속에 따른 관로손상, 유달시간 단축에 따른 하류지점 유량집중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차 및 계단을 두어 경사를 완만하게 하여야 합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하수도시설기준 1장 기본계획 1.5 우수배제계획
우수배제계획입니다. 우수배제계획은 계획우수량 산정, 우수관거 계획, 빗물 펌프장 계획, 우수 유출량 저감, 우수 조정지 계획을 통해서 우수배제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우수배제계획은
waterexpert.tistory.com
하수도 시설기준 제1장 기본계획 1.6 오수배제계획
하수도시설기준 기본계획 중 오수배제 계획입니다. 계획오수량, 오수관로계획, 오수펌프장계획, 불명수 유입량의 저감계획, 오수이송계획을 통해 오수배제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계획오
waterexpert.tistory.com
하수도 시설기준 1장 기본계획 1.7 하수처리 및 재이용계획
하수도시설기준 1.7장 하수처리 및 재이용계획입니다. 하수처리 및 재이용계획 시 고려사항은 계획인구, 계획 오수량, 계획 오염부하량 및 계획 유입수질, 처리방법, 하수처리수 재이용 기본계
waterexpert.tistory.com
하수도 시설기준 제1장 기본계획 1.10 합류식하수도 우천시 방류부하량 저감계획
하수도 시설기준 합류식하수도 우천시 방류부하량 저감계획입니다. 우천시 방류부하량 저감의 목적, 저감목표, 저감계획, 저감대책으로 나눠 볼 수 있습니다. 합류식하수도의 방류부하량 저감
waterexpert.tistory.com
블로그 인기글
2025년 국가직 공무원 공채시험 일정 및 주요 변경사항
2025년 국가직 공무원 공채시험 일정과 주요 변경사항이 발표되었습니다. 공시생들에게 중요한 이번 정보는 일정과 시험 형태의 변화를 포함하고 있어, 사전에 철저한 준비가 요구됩니다. 주요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주요 일정 밑에는 구글캘린더에 바로 일정과 함께 저장을 할 수 있도록 했으니, 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은 꼭 캘린더에 저장하세요!1. 국가직 공채시험 일정✍️9급 공채원서접수: 2025년 2월 3일(월) ~ 2월 7일(금)구글 캘린더에 추가필기시험: 2025년 4월 5일(토)구글 캘린더에 추가필기합격자 발표: 5월 9일(금)구글 캘린더에 추가면접시험: 5월 28일(수) ~ 6월 2일(월)구글 캘린더에 추가최종합격자 발표: 6월 20일(금)구글 캘린더에 추가✍️7급 공채원서접수: 2025년 5월 12..
https://waterexpert.tistory.com
2025년 기사 시험일정
2025년 기사 시험일정입니다. 기사 시험은 년 3번 치러집니다. 2025년에 기사 시험에 응시하고자 하는 분들은 종목별 일정 및 정보를 확인하세요! 원서접수 기간을 구글캘린더에 바로 추가할 수 있게 링크를 달아두었습니다. ^^ 2025년 기사시험일정✔️제1회 기사 시험필기시험 원서접수: 2025년 1월 13일(월) ~ 1월 16일(목) 1차 시험접수 일정 구글 캘린더에 추가필기시험: 2025년 2월 7일(금) ~ 3월 4일(화)필기시험 합격(예정)자 발표: 2025년 3월 12일(수)실기시험 원서접수: 2025년 3월 24일(월) ~ 3월 27일(목)실기시험: 2025년 4월 19일(토) ~ 5월 9일(금)최종 합격자 발표: 1차 6월 5일(목), 2차 6월 13일(금) ✔️ 제2회 기사 시험필기..
https://waterexpert.tistory.com
관로시설 설계기준 5. 관로의 접합과 연결
관로의 접합과 연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관로의 접합에는 수면접합, 관정접합, 관중심접합, 관저접합 그리고 경사진 지표에 적용하는 단차접합, 계단접합이 있습니다. 관로의 연결은 수밀성, 내구성, 내부식성이 있는 있는 것으로 합니다. 관련 내용에 대해서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관로의 접합 관로의 방향, 경사, 관경이 변화하는 장소 및 관로가 합류하는 장소에는 맨홀을 설치하여야 하고, 관로내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흐르게 하기 위해서는 원칙적으로 에너지경사선에 맞추어야 합니다. 관로접합은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 정합니다. (1) 관로의 관경이 변화하는 경우 또는 2개의 관로가 합류하는 경우의 접합방법은 수면접합, 관정 접합, 관중심접합, 관저접합이 있으나 원칙적으로 수면접합 또는 관정접합으로 합니..
https://waterexpert.tistory.com
관로시설 설계기준 4. 관로의 보호 및 기초공
관로의 보호 및 기초공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외압에 대한 관로의 보호, 관로 내면 보호, 관로 기초공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외압에 대한 관로의 보호 흙두께 및 재하중이 관로의 내하력을 넘는 경우, 철도 밑을 횡단하는 경우 또는 하천을 횡단하는 경우 등에는 콘크리트 또는 철근콘크리트로 바깥둘레를 쌓아서 외압에 대하여 관로를 보호합니다. 하천노선에 따라 부설되는 관로에도 관보호를 하여야 합니다. 관로의 내면 보호 관로의 내면이 마모 및 부식 등에 따른 손상의 위험이 있을 때에 내마모성, 내부식성이 우수한 재질의 관로를 사용하거나 관로의 내면을 적당한 방법에 의해 라이닝(lining) 또는 코팅(coating)을 하여야 하고, 관로를 연결하는 연결구도 내부식성이 있는 재질로 하여야 합니다. 관로..
https://waterexpert.tistory.com
관로시설 설계기준 7. 관로검사
관로검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시공 중, 시공 후 하수관로의 시공적정성을 조사하고 판정하기 위해 실시합니다. 관로검사의 종류 및 특징, 그리고 관로검사의 기본사항 및 허용누수량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관로검사의 종류 및 특징 관로검사는 시공 중이거나 시공 후 하수관로(하수관, 맨홀, 연결관, 배수관 등)의 시공적정성을 조사하고 판정하기 위한 것입니다. 관로검사는 다음과 같이 구분합니다. (1) 검사시기에 따라 시공중에 실시하는 시공검사와 시설준공시 실시하는 준공검사로 구분합니다. (2) 검사대상에 따라 경사검사, 수밀검사, 내부검사, 오접 및 유입수・침입수 경로검사, 변형검사로 구분합니다. (3) 검사구간에 따라 수밀검사는 맨홀-맨홀구간으로 시행하는 수밀검사와 개보수 등 특정구간에 한정하여 ..
https://waterexpert.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