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수처리 분야에서 고도처리 기술은 영양염류의 제거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고도처리의 개념, 중요성, 그리고 처리 방식의 선정 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하수도설계기준을 더 자세하게 보고 싶으신 분은 아래 pdf를 다운 받아 주세요.7.1-2.pdf
2.28MB
1. 개요
고도처리는 하수 및 폐수 처리 과정에서 추가적인 정화 단계를 통해 더욱 깨끗한 처리수를 얻기 위한 과정입니다. 이 기술의 도입은 여러 중요한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 방류수역의 수질환경기준 달성: 방류되는 수의 품질을 개선하여 환경 기준을 만족시키는 것입니다.
- 폐쇄성 수역의 부영양화 방지: 과도한 영양소 유입으로 인한 수역의 생태계 균형을 방지합니다.
- 방류수역의 이용도 향상: 더 깨끗한 수질로 인해 방류수역의 다양한 용도로의 활용이 가능해집니다.
- 처리수의 재이용: 고도 처리된 물은 다시 사용될 수 있어 자원의 효율적 활용에 기여합니다.
2. 처리방식의 선정
고도처리 방식의 선정은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이루어집니다:
질소제거공정: 질소는 수질 오염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이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공정이 필요합니다.
인제거공정: 인 또한 수체의 부영양화를 일으키는 주요 요소이므로, 인제거 공정의 채택이 중요합니다.
질소 인 동시 제거공정: 질소와 인을 동시에 제거하는 통합 공정을 통해 더욱 효율적인 처리가 가능합니다.
잔류 SS 및 잔류 용존유기물 제거공정: 고형물(SS)과 용존 유기물의 제거를 통해 더 깨끗한 처리수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고도처리 기술의 도입은 환경 보호뿐만 아니라 지속 가능한 물 자원 관리에 있어 필수적입니다. 고도처리는 더 깨끗한 수환경을 조성하고, 생태계 보호 및 인간의 건강 증진에 기여하는 중요한 기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