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리장 내 연결관거 문제 풀이하도록 하겠습니다. 처리장 내 연결관거 설계에 대한 문제로 하수도시설기준에 있는 내용을 작성하시면 됩니다. 지금까지 4회 출제되었고(100회 이후) 10점, 25점으로 출제되었습니다. 처리장 내 연결관거 계획 하수량, 유속 그리고 유의점(고려사항)에 대해서 작성하시면 됩니다. 

 

 

 

출제

123회 2교시 5번. 하수처리시설 내 연결관거 설계시 고려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21회 2교시 5번. 하수처리리설내 부대시설 중 단위공정간 연결관거 계획시 계획하수량 및 유의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10회 1교시 7번. 하수처리장내 연결관거 설계기준

101회 1교시 2번. 처리장 내 연결관거

 

처리장내 연결관거 설계

유입하수는 시간에 따라 변하므로 이를 고려하여 연결관거 설계를 해야합니다. 

계획하수량

분류식 하수도의 연결관거 및 합류식 하수도의 일차침전지 이후 각 시설 간의 연결관거는 일변동, 시간변동을 고려한 계획시간최대오수량을 표준으로 합니다. 합류식하수도의 경우 펌프토구에서 일차침전지까지 그리고 일차침전지에서 토구까지는 일반적으로 우천시계획오수량을 기준으로 합니다. 또, 분류식하수도의 경우에는 우천시의 peak 수량을 고려한 여유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1. 펌프토구 - 일차침전지 : 합류식 - 우천시계획오수량, 분류식 - 계획시간최대오수량

2. 일차침전지-포기조 : 계획시간최대오수량

3. 포기조-이차침전지 : 계획시간최대오수량 + 계획반송슬러지량

4. 이차침전지-토구 : 계획시간최대오수량

5. 일차침전지-토구 : 합류식 - 우천시계획오수량, 분류식 - 계획시간최대오수량

평균유속

 

 

 

처리장내 연결관거의 평균유속은 하수처리시설내 각 시설의 수위관계를 고려하되, 0.6~1.0 m/s로 합니다. 그 이유는 유속이 너무 낮으면 관거 하부에 슬러지가 침전 및 퇴적되기 쉽고, 유속이 너무 빠르면 수위차가 크게 되어 펌프의 양정을 증가시켜, 에너지 소비가 커지고 유지관리비용이 많이 들게 됩니다. 필요시 활성슬러지의 침전을 방지하기 위해, 산기장치를 설치하여 포기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기타사항

1. 처리장내 연결관거는 수밀 철근콘크리트 관거 또는 주철관으로 해야합니다. 

2. 연결관거의 길이는 최대한 짧게하고, 주요시설간의 연결관은 복수로 계획하여 어떠한 경우에도 연결이 되도록 해야합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